연구/세미나

우신보석감정원, 코로나19 불구하고 활발한 연구활동 지속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사태의 여파가 사회 여러 곳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많은 기관들이 내외부 미팅이나 출장 등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면서 GIT, IGC 등 각
종 국제컨퍼런스와 국제전시회 등 직접적인 활동과 교류가 줄어들고 있는 것. 직접적인 학술교류활동에 제동이 걸리면서, 보석 연구 분야에서의 활발한
소통
또한 보기 어려워졌다.
이러한 가운데 올해 41주년을 맞이하는 우신보석감정연구원(이하 우신감정원)이 코로나19로
어려워진 보석 산업 환경 속에서도 지속적인 연구 활동을 이어
가고 있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우신감정원은 '바라이트(Baryte)를
주요 성분으로 만든 말라카이트(Malachite) 모조석에 대한 연구'를 2020년 홍콩 GAHK 학술지에 게시하였다. 말라카이
트는 고유의 색상과 곡선 또는 직선의 줄무늬가 특징으로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보석 중 하나이다.
이번 연구는 시험석의 형광반응, FT-IR 측정, 성분분석(EDXRF), 라만측정 등을 통하여 천연 및 합성, 재생 말라카이트, 단순한 플라스틱 모조석과 다른 특징을
감별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홍콩보석협회(Gemmological
Association of Hong Kong)의 'The Journal of the GAHK'는
연간 발행되는 보석전문학술지로
서 우신감정원은 올해로 6년 연속 논문을 싣고 있다.
또한 2020년 우신매거진에는 중국의 유핵 담수 진주(에디슨 진주), 헥마나이트와 소달라이트의 광학적 특성 등 다채로운
보석학적 연구를 선보이고 있다.
우신매거진은 지난 2014년부터
보석 정보 및 보석학 연구에 관한 내용을 소개하는 우신감정원의 자체 발행물이다.
올해 출간한 매거진에서는 앞서 소개된 기사 외에도 청송 꽃돌, 콘드로다이트와
클리노휴마이트 감별을 위한 보석 및 분석학적 특성 비교, 골드 쉰 사파이어
분석에 관한 글과 보석에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가 기재되어 있다.
우신보석연구원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보석 산업 분야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소비는 침체 되어 있는 반면 정교한
합성
방법이나 신소재들은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보석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색이나 투명도 등 인공 처리한
상품들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어 보석감정과 감별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졌다.”라며 "자사는 이런 악조건 속에서도 깊이 있는 보석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연구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함으로써
국내 보석감정?
감별분야 발전을 선도해 나가도록 꾸준히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우신매거진은 우신감정원 공식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블로그, 유튜브,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하여 보석에 관한 정보와
새로운 뉴스, 우신감정원의 소식과
다양한 활동을 접할 수 있다.
출처:SBS CNBC